본문 바로가기

설계2

[도서 리뷰] 적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: 리스크 주도 접근법 > 진행에 앞서 개발자로 N년 이상(N은 개인별로 다양하겠지만, 개인적으로는 10년 이상)된다면 개발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자체에 대해서 설계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진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. 코드를 만들고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 즐거워서 시작한 개발이지만, 어떻게 하면 내가 하는 이 개발이 좀 더 견고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을까. 혹은 아름다운 구조를 가진 코드를 만들 수 있을까. 다양하게 접수되는 요구사항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을까. 등 '설계'라는 영역을 찾아가게 만드는 생각에 다다르게 된다. 결국 좋은 구조의 프로그램(소프트웨어)은 좋은 설계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. 그 설계를 하는 일은 흔히 개발자가 하게 되지만, 개발자가 그 일을 좀 더 전문적.. 2022. 11. 26.
[도서 리뷰]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> 진행에 앞서 모바일 개발자. 특히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지내오면서, 도메인이란 무엇인지, 설계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깊게 고민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는 않은 것 같다. 한.. 6~7년전? 그 전까지는 그냥 피쳐 개발이라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생각도 들고, 그 이후로도 그냥 단건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면서 앱이든 라이브러리든 개발을 해 왔던 것 같다. 모바일 개발자 전체적으로도 그런 분위기가 크게 대두된건 그리 오래지 않은 느낌이다. 처음엔 MVC, MVP, MVVM과 같은 뷰와 관련되어 어떻게 개발을 해야 하는지에 좀 더 포커싱이 맞춰졌다면, 그보다는 더 큰 틀 안에서 어떻게 더 구조화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할지 논의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. 그러다가 클린 아키텍처라는 용어도 .. 2022. 4. 24.
반응형